목록전체 글 (3)
조각조각 조각모음
들어가며 2월부터 8월말까지 이어지던 길고긴 KDT훈련과정이 끝이 났다. 그동안 계속해서 데이터 관련 프로젝트 준비, 자격증 공부, 포트폴리오 준비 등으로 개인적으로 따로 관심있는 분야에 대한 책을 읽거나 공부를 하는 것은 엄두를 내지 못했다. 하지만 드디어 수업이 끝나 데이터 분야가 아닌 다른 분야의 책도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 간 도서관에서 여기저기 기웃거리다가 보게된 부동산 공매 책! 원래도 부동산 투자에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집에도 부동산 투자 관련 책이 몇권있지만 경매나 공매와 관련된 책은 본적이 없었다. 호기심을 가지고 있던 투자 방식이기도 해서 뽑아들어 차근차근 시간날 때마다 읽어보았다. 책 소개 https://smartstore.naver.com/mkbook/products/41670..
강의자료 : https://youtu.be/mVJOlinBO7o?si=B5eBLfN7UbQmsghm1. 대표성 문제실생활 예시 주식으로 돈을 잃은 사람만 이야기를 하니 주식 투자는 하면 무조건 돈을 잃는다고 생각표본 추출 편의(sample selection bias)비확률 표본 추출의 한 종류로, 쉽게 접근 가능한 대상이나 위치에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이 방식은 모집단 전체를 제대로 대표한다고 하기 어렵다.1993년 LA 시장선거 여론조사와 실제 경과의 비교전체 유권자를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한 결과보다 투표를 할 것 같은 유권자를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것이 더 실제 결과와 유사했다. 전체 유권자 중 44%가 투표를 하였기 때문에 이 경우 적절한 모집단은 투표를 할 유권자라고 할 수 있다. 여론조사..
강의자료 : https://slidesplayer.org/slide/11186058/ 통계학에 대해 기초부터 정리할 수 있는 강의가 뭐가 있을까 찾다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류근관 교수님의 유튜브 강좌를 발견하게 되었다. 데이터 사이언스를 전공하기 위해 통계학 지식이 필수이지만 관련 지식이 없다보니 기초부터 쉽게 설명해줄 수 있는 강의가 필요했는데 이 강의가 그런 강의이길 바라면서 듣기 시작해본다. 1. 통계학을 왜 배워야 하는가? 통계학을 알지 못하면 같은 결과를 보더라도 표현 방식에 따라 그 결과를 다르게 인식할 수 있다.엉터리 통계 및 잘못된 표현, 왜곡 등을 인지하지 못하고 받아들일 수 있다.통계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을 배움으로써 수치들로부터 정확한 의미를 해석해낼 수 있다. 2. 통계학이란?세상..